[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직무평가
1. 의의 : 직무들 간의 상대적 가치를 체계적으로 결정하는 과정
2. 필요성 : “임금 공정성 제고” – 테일러 과학적 관리론에 따르면 성과에 따른 차등보상지급이 필요 // “인사관리 전반의 합리화” (확보, 배치, 개발 등) – 직무와 인력간 적합성 높일 필요
3. 직무평가 요소 : 숙련도, 책임, 노력, 작업환경
4. 방법
1) 분류 기준
(1)종합적 방법 – 포괄적 판단으로 직무 가치평가 > 서열법 , 분류법 // 분석적 방법 – 직무를 기초 요소나 조건으로 분석 후 계량적 절차로 직무 가치평가 > 점수법 , 요소비교법
(2)직무와 기준을 비교 – 분류법 , 점수법 // 직무와 직무를 비교 – 서열법 , 요소비교법
2) 서열법
(1)의의 : 직무의 상대적 가치에 따라 각 직무 중요도를 평가자가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순서를 정함
(2)유형 (교쌍위) : 교대서열법 – 가장 가치 높은 직무와, 가장 가치 낮은 직무 선정 후 나머지 직무들에 동일 방법 계속 적용 // 쌍대비교법 – 각 직무를 2개씩 짝을 지어 비교하는 것 되풀이 // 위원회방법 – 여러 명 참여로 평가 주관성 줄임
(3)장점 : 직무의 상대적 중요도를 신속-용이 판단
(4)단점 : 서열간 차이 파악 불가 // 평가자 주관
3) 분류법
(1)의의 : 미리 직무등급명세표를 만들어 해당 직무를 등급으로 분류
(2)장점 : 간단하고 이해하기 쉬운 방법
(3)단점 : 개별 등급에 대한 정의가 쉽지 않으며 등급에 대한 논란이 있을 수 있음 // 평가자 주관
4) 점수법
(1)의의 : 모든 직무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평가요소를 선정하여 각 요소별 중요도에 따라 점수를 산정하고 총 점수를 계산하여 직무 평가
(2)장점 : 직무의 상대적 차등을 구체적으로 정할 수 있음 > 이에 따라 공정성 확보 가능
(3)단점 : 모든 직무에 공통되는 평가요소 선정이 어려움 // 평가자 주관
5) 요소비교법
(1)의의 : 벤지 // 조직 내 가장 핵심이 되는 기준직무를 선정하여 요소별로 직무에 대한 평가한 후, 평가대상 직무를 기준직무의 요소들과 비교하여 직무 간 상대적 가치를 결정
(2)장점 : 평가의 타당성, 신뢰성 확보 // 임금 공정성 // 실정에 맞는 미세조정이 가능하여 점수법 보다 합리적
(3)단점 : 평가 방법과 과정이 복잡 // 평가자 주관
5. 직무평가 문제점 및 해결방안
1) 문제점 : 평가결과에 대한 종업원의 저항 // 직무평가 목적에 대한 오해
2) 해결 방안 : 충분한 홍보 // 종업원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