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선발 1)

반갑다친구야 2020. 10. 7. 10:53

@선발 1

1. 의의 : 지원자 중 우수한 지원자를 선별하는 과정

2. 선발 기준 or 인재상 결정 : 기업문화중심적 접근 // 경력중심적 접근 (지원자 능력 기준) // 직무중심적 접근 (직무명세서 기준)

3. 선발도구 적용방법 : 종합적 평가법 보완적 방식 // 단계적 제거법 비보완적 방식, 비용 절약, 우수 지원자 탈락 가능성

4. 예측치 준거치 결합

 1) 의의 : 예측치 선발의 각 단계별 점수 // 준거치 실제 채용될 경우 업무 성과

 2) 질적 접근 : 경영자 경험을 토대로 직관적으로 지원자를 가려내는 방법 // 스테레오타입 오류 주의

 3) 양적 접근 : 프로파일링 방식 // 회귀분석 (회귀식을 만들어 우수한 성적 예상되는 인력을 선발 // 컷오프 방식 (예측치별 기준선을 설정하고 이를 넘지 못하면 탈락시키는 방식)

4. 선발도구 유형

 1) 바이오 데이터 분석 : 개인 신상에 대한 모든 정보 활용

 2) 프로파일링 : 성과 높은 종업원의 자질을 데이터화하여 이와 유사한 지원자를 선발 // “수준” (값의 절대적 차이) 형태” (자질이 유사 한지) 를 비교  

 3) 선발시험

 4) 선발면접

  (1)구조적 면접 vs 비구조적 면접 // 집단면접 vs 위원회 면접 // 압박 면접

  (2)후광효과 : 피평가자의 어느 한 특징으로 전체를 평가 (<-> 뿔효과) // 평가자에 대한 교육, 구조화 면접

  (3)고정관념 : 종교, 성별 등에 대해 가지고 있는 편견에 근거하여 평가 // 평가자 교육, 위원회 면접

  (4)맥락효과 : 동일한 대안이라고 해도 어떤 대안과 함께 평가되는지 맥락에 따라 결과가 달라짐 // 집단면접에서는 맥락효과 발생 가능성 큼

 5) 평가센터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