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보상1)

반갑다친구야 2020. 11. 19. 15:23

@임금

1. 의의 : 종업원이 조직에 제공한 노동에 대한 금전적 대가

2. 임금 공정성

 1) 의의 : 아담스는 페스팅거 인지부조화 이론에 근거 > 자신의 투입(노력)과 결과(보상)를 타인과 비교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동기부여에서 중요 > 이 과정에서 불공정성을 지각하면 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함 // 연구에 의하면 임금의 절대액보다 지각된 공정성이 더 중요하다고 함

 2) 유형

  (1)대외적 공정성 (외부공정성) : 외부 조직의 유사한 직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이 받는 임금과 비교할 때의 공정성 // 기본급 및 인센티브, 복리후생도 포함 // 조직이 우수한 인력을 확보, 유지하는데 영향을 미치므로 임금수준 관리의 지침이 됨

  (2)대내적 공정성 (내부공정성)

.조직적 공정성 : 동일조직 내에서 상이한 직무를 담당하고 있는 사람들이 받는 임금과 비교할 때의 공정성 // 팀워크가 조직 성공에 필수적인 조직의 경우 특히 중요 // 조직몰입에 영향

.개인적 공정성 : 동일조직내에서 동일한 직무 // 동기유발에 직접적 영향 미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