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보상2)
(3)임금공정성과 임금관리
ㄱ.임금수준관리
가.의의 : 종업원들에게 지급하는 임금액의 크기 // 대외적 공정성의 이슈가 됨
나.영향요인 : 대내적 요인 – 기업규모, 노동조합, 지불능력 // 대외적 요인 – 생계비, 물가, 정부정책
다.상한선 : 기업의 지불능력 // 생산성 – 물적생산성, 부가가치 생산성 // 수익성 – 손익분기점, 원가구성
라.하한선
*최저임금제 : 국가가 저임금 근로자 생활보호를 위해 법적으로 하한선을 정함 // 임금결정원리를 사회정책적 관점에서 제약한 것 // ILO 가입국 다수가 채택 // 우리나라는 1986년에 최저임금법 제정 // 순기능 – 사회정책적 빈곤퇴치로 인간다운생활 가능 , 기업간 임금인하 경쟁방지 , 노사분쟁방지 , 구매력을 보호하여 유효수요 창출 // 역기능 – 최저임금으로 상승된 비용을 완제품에 전가하여 소비자가 피해 , 실업 유발 (기계 사용으로 원가절감 가능할 경우 근로자를 기계로 대체하려고 할 것)
*종업원의 생애주기
*종업원의 생계비 : 실제생계비 (생계비 실태를 조사해서 생계비 산정) // 이론생계비 (학문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생계비 산정) - 전물량방식 (학문 연구를 통해 생필품 항목을 정한 뒤 이를 전부 합해 생계비 산정하는 방식) , 반물량방식 (엥겔지수 활용하는 방식)
마.임금수준과 전략 : 선도전략 // 동행전략 // 추종전략 // 혼합전략
ㄴ.임금체계관리 : 임금수준관리에 의해 결정된 임금을 공평하게 배분하는 방식 // 연공 (연공급), 직무가치 (직무급), 직무수행능력 (직능급) // 대내적 공정성의 이슈가 됨
ㄷ.임금형태관리 : 임금의 지불방법 // 기본급, 성과급, 수당 // 대내적 공정성의 이슈가 됨
ㄹ.직무급의 산정은 “조직적 공정성” // 연공급, 직능급, 성과급 산정은 “개인적 공정성” 과 연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