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공매도는 왜 욕을 먹을까?

경제

by 반갑다친구야 2025. 6. 16. 00:01

본문

728x90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  📉 원리, 장점, 그리고 개인투자자들이 화내는 이유까지!  


🪙 공매도, 하아... 이거 대체 뭔가요? 

“공매도”라는 단어, 어렵게 들리지만
사실은 단순한 거래 방식이에요.

✔️ 정의부터 간단히!

공매도란 없는 주식을 빌려서 먼저 판 다음,
나중에 주가가 떨어졌을 때 다시 사서 되돌려주는 거래예요.

엥!?!?!? 나한테 없는걸 판다고요? 무에서 유를 창조한다는 건가요?
이렇게 개념부터가 생소하죠? 
그렇다면 대체 누가 왜 이런 해괴한 (?) 걸 하려는 걸까요?


🍎 사과 장수로 이해해볼까요??

철수가 청과물 시장에서 사과 10개를 빌렸다고 생각해봐요.

  • 그 사과의 현재 시세는 개당 1,000원이에요.
  • 철수는 사과 10개를 1만 원에 팔아요.
  • 며칠 뒤 사과 값이 700원으로 떨어졌어요.
  • 철수는 7,000원으로 사과 10개를 다시 사서 돌려줘요.

👉 철수는 중간에 3,000원 이익을 본 거예요.

이게 바로 공매도예요!
없는 걸 빌려 팔고, 싸졌을 때 사서 돌려주는 방식이죠.
(* 단순하게 정리 : 철수한테 빌린다 => 영희한테 판다 => 경수한테 산다 => 철수한테 다시 갚는다)  


✅ 공매도의 장점은?

  1. 주가 거품 제거
    • 주식이 지나치게 올랐을 때, 공매도가 경고등 역할을 해줘요.
    • “이 주식 너무 비싸! 곧 떨어질 거야!”라는 신호처럼 작용합니다.
  2. 시장 유동성 증가
    • 거래량이 늘어나고, 시장이 활발해져요.
  3. 리스크 헷지(위험 분산)
    • 주가가 떨어질 경우 손해를 줄이기 위한 전략으로 활용됩니다.

😡 그런데 왜 욕을 먹을까요?

그 이유는 실제 시장에서의 불공정성 때문이에요.

🔥 이유 ① 개미는 못하고 기관만 한다?

  • 공매도는 주식을 빌려야 가능한데,
    대부분의 개인(개미)은 주식을 빌릴 수 있는 시스템이 부족해요.
  • 반면 기관이나 외국인은
    대량으로, 그리고 실시간으로 주식을 빌려서 마음껏 공매도를 해요.

📌 “부자들만 쓸 수 있는 비밀 무기잖아?” 라는 비판이 나오는 거죠.


🔥 이유 ② 주가 하락 유도

공매도는 떨어질 주식에 베팅하는 구조잖아요?
그래서 공매도가 많으면 사람들이
“이 회사 망하는 거 아냐?” 하고 공포를 느끼고
→ 주가가 더 빨리 떨어지기도 해요.

📉 “멀쩡한 주식을 공매도로 망가뜨리는 거 아냐?” 라는 우려도 많아요.


🔥 이유 ③ 불법 공매도

공매도는 정해진 룰 안에서만 해야 하는데,
때때로 기관이 주식을 빌리지도 않고 파는 불법 공매도를 하기도 해요.
이건 진짜 사기예요.


🧠 그럼 공매도를 없애면 안 되나요?

한때 한국은 개인 투자자 보호를 위해 공매도를 전면 금지하기도 했어요.
하지만...

  • 외국인 투자자들이 “이 나라는 비정상적인 시장”이라며 떠나기도 했고,
  • MSCI 선진국 지수 편입도 어려워졌죠.

그래서 지금은

공정하고 투명한 공매도 시장을 만들자
는 방향으로 제도가 바뀌고 있어요.


✍️ 맺음 : 공매도는 도구일 뿐, 문제는 "룰"

공매도 자체는 나쁜 게 아니에요.
마치 칼이 요리에 쓰이면 "흑백요리사" 에 등장하는 맛있는 요리를 완성시키지만,
범죄에도 쓰이면 "그것이 알고 싶다" 의 무시무시한 범행 도구로 나오게 되는것 처럼 
어떻게 사용하느냐가 더 중요하죠.

✔️ 공정한 기회
✔️ 불법 없이 운영
✔️ 정보의 투명성

이 세 가지만 갖춰진다면,
공매도는 오히려 시장의 균형과 건강을 지키는 도구가 될 수도 있지 않을까요?

반응형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건축은 황금알?  (8) 2025.06.20
전쟁과 금리 정책의 딜레마  (12) 2025.06.19
민간 우주 경쟁!  (4) 2025.06.10
미국, 일본, 철강, 그리고 관세 이야기  (8) 2025.06.09
내연기관 vs 하이브리드 vs 전기차  (10) 2025.06.06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