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경력경로 설계
ㄱ.의의 : 개인이 조직에서 여러 직무를 수행하면서 경력을 쌓을 때 수행할 직무들의 배열
ㄴ.전통적 경력경로 : 조직내 직무들이 수직적 배열
ㄷ.네트워크 경력경로 : 수직적, 수평적 배열
ㄹ.이중경력경로 : 원래 기술직 종사자 대상 // 관리직종 보내지 않고 계속 기술 직종에 머물게 하여 전문성 증대
3. 경력 개발 단계
1) 기능적 측면 : 교육훈련 // 배치전환 // 승진
2) 과정적 측면 : 초기경력단계 – 조직사회화 // 중기경력단계 – 경력정체감 극복 // 말기경력단계 – 퇴직준비 및 전직지원 프로그램
4. 경력 평가 단계
1) 경력성과 검토 : 경력개발 프로그램으로 종업원 능력이 증가되었는지
2) 경력태도 검토 : 경력개발 프로그램으로 종업원들이 자신의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인식했는지
@ 보론 - 승계계획
1. 의의 : 조직 핵심적인 직책에서 리더십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후임자를 사전에 선정하고 육성하는 활동
2. 등장배경 : 빈번한 이직 // 핵심인재 육성의 필요성 // 지식경영 관점에서 직무승계 필요성 (암묵지 전달)
3. 승계경로
1) T형 - 하위 직급에서는 하나의 경험, 상위 직급에서 다양한 경험
2)Ⅰ형 - 하위 직급과 상위 직급에서는 다양한 경험, 중간 직급에서 하나의 경험
3) L형 - 하위 직급에서 다양한 경험, 점차 진급하며 하나의 경험
4) S형 – 승진하면서 계속 다양한 부서 이동
5) +형 - 하위 직급과 상위 직급에서는 하나의 경험, 중간 직급에서 다양한 경험
4. 성공적 실행방안 : 구체적목표 // 최고경영자의 지원 // 구체적 목표 // 종업원의 참여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평가2) (0) | 2020.11.09 |
---|---|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평가1) (0) | 2020.11.05 |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개발 3) (0) | 2020.10.30 |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승진) (0) | 2020.10.27 |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개발 2) (0) | 2020.10.2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