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평가3)

수험

by 반갑다친구야 2020. 11. 11. 10:37

본문

6. 평가방법

 1) 서열법 : 피평가자 능력, 업적 가치에 따라 서열 매김 // 신속, 용이 // 피평가자 수가 너무 많거나 적으면 곤란 , 평가자 주관 // 교대서열법, 쌍대비교법, 대인비교법 (평가요소별 서열을 매기는 것)

 2) 평정척도법 : 사전에 마련된 평정척도를 근거로 인적자원 평가 // 가중치 둘 수 있음 , 신속 // 관대화, 중심화, 가혹화, 후광효과 등 평가오류 가능성

 3) 체크리스트법 : 표준행동들 제시하고 그 중 피평가자 행동을 체크하여 평가 // 판단 용이 , 후광효과 적음 // 체크리스트 만드는 데 많은 시간

 4) 중요사건 기록법 : 특별히 효과적이거나 비효과적인 행동 및 업적 기록해 두었다가 평가 // 어떤 사건을 기록할지 평가자 마다 상이

 5) 행동기준평가법 (BARS)

(1)의의 : 인성 및 특성 중심의 전통적 인사평가 방법을 비판하며 실제 행동을 관찰하여 평가하는 방식 // 평정척도법 , 중요사건 기록법 혼용  

  (2)개발방안 : 개발위원회 구성 > 중요사건 열거 > 중요사건 범주화 > 중요사건 재분류 > 중요사건 등급화 > 확정

  (3)장점 : 정확성 , 공정성 // 업무 개선 효과 // 일관성 있는 평가기준 제시 가능 // 피드백 용이

  (4)단점 : 개발에 많은 시간-비용 // 피평가자가 조직에 도움되는 다른 행동을 해도 고려 어려움 // 조직 변화에 따라 성과 수준이 변하면 평가 타당성이 낮아질 수 있음 (과거는 희소한 행동, 현재는 보편화된 행동 > But 여전히 높은 점수를 받음)

 6) 행동관찰평가법 (BOS)

  (1)의의 : 평가의 기준으로 제시된 행동기준을 피평가가가 얼마나 자주 보여주는지 빈도를 측정하는 방식

  (2)장점 : 가장 대표적인 행동 하나만을 선택해야 한다는 BARS 의 단점에서 벗어남 // BARS 는 이미 발생한 행동만 대상으로 하지만, BOS 는 아직 발생한 행동이 없어도 현재까지의 행동에 비추어 추정하여 반영 가능 // 개발 시간, 비용을 일부 줄일 수 있음

 7) 목표관리법 (MBO)

  (1)의의 : 피터 드러커 // 6개월 또는 1년 기간내 달성한 특정 목표를 평가자-피평가자 합의로 설정하고, 그 기간 종료 후 달성되었는지 평가하는 결과지향적 평가법

  (2)이론 배경 : 로크 목표설정이론 – 구체적 목표 // 적당한 난이도 있는 목표 // 구성원에게 수용가능한 목표

  (3)실행 절차 : 직무기술서 검토 > 성과표준 개발 > 목표 합의 (좋은 목표의 조건 : “SMART” – Specific, Measurable, Achievable, Result-oriented , Time-bound ) > 목표달성 점검

  (4)효과 : 타당성 높음 (평가내용이 성과를 기준) // 신뢰성 높음 (상사의 편견이 적어짐) // 실용성 낮음 (상당한 비용 수반됨) // 수용성 높음 (피평가자 참여)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