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사관리의 전략적 접근
1. 의의 : 마일즈-스노우, 포터 등에 의해 출발 // 인사관리를 단순한 조직 구성원 관리 기술이 아니라, 인적자원 체계적 관리를 통한 조직성과 창출 방식으로 파악
2. 등장배경 : 인사관리 연구의 기본적 틀은 일-사람 간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서 출발 > 기계적 접근과 인간관계적 접근은 서로 상반된 관점을 제시 // 인사관리의 전통적 접근 > 비용, 통제 중심 // 전략적 접근 > 지식, 기술, 능력 (KSA) 을 경제적 가치로 평가 가능한 재무상태표상의 무형자산과 유사한 개념으로 생각 (아이디어, 기술, 창의력 같은 부가가치 창출 요소는 다른 경쟁기업이 쉽게 모방하기 어렵기 때문) > 조직 구성원을 자산이자 지속적 경쟁우위의 원천으로 간주하며 이는 자원기반관점으로 구체화 됨
3. 바니의 자원기반관점
1) 의의 : 기업은 경쟁사가 가지지 못한 자원을 보유함으로써 경쟁우위를 확보
2) 내용 (VRIO) : Value – 얼마만큼 가치가 있는가 (인적자원이 기업 특유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가) // Rarity – 얼마만큼 희소한가 (타당한 채용제도와 유연한 보상이 필요) // Inimitable – 경쟁기업이 모방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가 (조직의 각각의 제도는 다른 제도와 긴밀하게 연계되어 실천되는 것이므로 쉽게 모방 될 수 없음) // Organization – 활용할 수 있는 조직을 만들 수 있는가
4. 시사점 : 인사부서의 역할을 적극적으로 전환시킴 // 전통적인 기계적 접근, 인간관계적 접근은 보편론적 관점이었으나 전략적 접근에서는 상황론적인 시각에서 환경-전략-인사제도의 유기적 연계와 적합성 (fit) 강조 // 개별인사제도가 전사적 수준에서 통합될 수 있도록 논리적 근거 제시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1) | 2020.09.29 |
---|---|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직무분석) (0) | 2020.09.28 |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인사감사) (0) | 2020.09.25 |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e-HRM) (0) | 2020.09.24 |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과학적관리론 & 인간관계론) (0) | 2020.09.2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