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수험] 공인노무사 - 경영조직론 (공정성이론, 목표설정이론, 자기효능감)

수험

by 반갑다친구야 2021. 3. 2. 10:30

본문

@아담스 공정성이론

1. 의의 : 페스팅거 인지부조화이론 근거 // 자신의 투입 (노력) 과 결과 (보상)를 타인과 비교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동기부여에서 중요, 이 과정에서 불공정성을 지각하면 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함 

2. 조직 공정성 3가지 유형

 1) 분배적 정의 : 의사결정, 자원분배에서 공정성

 2) 절차적 정의 : 과정에서의 공정성

 3) 상호작용적 정의 : 의사결정 이루어질 때 얼마나 존중 받는지 // 대인적 정의 (개인이 얼마나 존중받는지) 및 정보적 정의 (정보의 진실성, 구체성 등) 로 구성됨

3. 불공정성 해소 방안 : 자신 투입, 산출 변경 // 자신 or 타인 지각 왜곡 // 준거 대상 변경 // 장 이탈  

4. 시사점

1) 보상 절대액 보다 상대적 크기 중요

2) 분배적 공정성 확보 어렵다면 과정 공개로 절차적 공정성 제고해야 함

3) 부하직원이 존중-관심 느낄 수 있도록 상사들이 대우해야

 

@로크 목표설정이론

1. 의의 : 구체적이며, 적당히 어렵고, 구성원에게 수용가능한 목표가 동기부여의 원천

2. 목표의 기능 : 업무에 몰입할 수 있게 도움 // 업적 평가 기준이 됨

3. 좋은 목표 조건 

 1)구체적 목표 : 구체적 목표가 내적 자극으로 작용함

 2)적당히 어려운 난이도 

 3)구성원들에게 수용가능해야 : 목표 설정 방식에는 지시적-참여적-재량적 방식 > 구성원이 참여할수록 수용성 높아짐  

4. 목표가 성과로 이어지는 과정

  목표 > 구성원이 자기설정목표를 높은 수준에서 설정 > 노력의 강도 및 지속성 증가, 과업전략 스스로 습득 > 성과 향상

5. 목표, 성과간 조절변수

: 적절한 피드백 // 보상 // 직무 복잡성 (업무 내용이 얼마나 다양하고 잘 변동되는지) – 직무가 단순한 경우 좋은 목표의 동기부여 효과가 더 크다 // 경쟁 상황 // 능력

 

@자기효능감

1. 의의 :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를 잘 해낼 것으로 믿는 개인의 성향

2. 증진 방법

 1) 성공경험

 2) 대리학습

 3) 구두설득 : 상사로부터 긍정적 피드백

 4) 각성 : 정신적, 육체적으로 깨어있는 상태 

3. 목표와 자기효능감

: 좋은 목표 > 종업원 자기효능감 증진 > 자기 설정 목표 향상 > 높은 성과

4. 자기효능감이 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1) 목표의 수정 : 자기효능감 높은 사람은 난이도 높은 업무 선호할 수 있음

 2) 노력의 강도 및 지속성 향상

 3) 학습효과 증진 : 더 많이 배우려고 함

 4) 스트레스 감소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