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담스 공정성이론
1. 의의 : 페스팅거 인지부조화이론 근거 // 자신의 투입 (노력) 과 결과 (보상)를 타인과 비교하여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동기부여에서 중요, 이 과정에서 불공정성을 지각하면 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함
2. 조직 공정성 3가지 유형
1) 분배적 정의 : 의사결정, 자원분배에서 공정성
2) 절차적 정의 : 과정에서의 공정성
3) 상호작용적 정의 : 의사결정 이루어질 때 얼마나 존중 받는지 // 대인적 정의 (개인이 얼마나 존중받는지) 및 정보적 정의 (정보의 진실성, 구체성 등) 로 구성됨
3. 불공정성 해소 방안 : 자신 투입, 산출 변경 // 자신 or 타인 지각 왜곡 // 준거 대상 변경 // 장 이탈
4. 시사점
1) 보상 절대액 보다 상대적 크기 중요
2) 분배적 공정성 확보 어렵다면 과정 공개로 절차적 공정성 제고해야 함
3) 부하직원이 존중-관심 느낄 수 있도록 상사들이 대우해야
@로크 목표설정이론
1. 의의 : 구체적이며, 적당히 어렵고, 구성원에게 수용가능한 목표가 동기부여의 원천
2. 목표의 기능 : 업무에 몰입할 수 있게 도움 // 업적 평가 기준이 됨
3. 좋은 목표 조건
1)구체적 목표 : 구체적 목표가 내적 자극으로 작용함
2)적당히 어려운 난이도
3)구성원들에게 수용가능해야 : 목표 설정 방식에는 지시적-참여적-재량적 방식 > 구성원이 참여할수록 수용성 높아짐
4. 목표가 성과로 이어지는 과정
목표 > 구성원이 “자기설정목표”를 높은 수준에서 설정 > 노력의 강도 및 지속성 증가, 과업전략 스스로 습득 > 성과 향상
5. 목표, 성과간 조절변수
: 적절한 피드백 // 보상 // 직무 복잡성 (업무 내용이 얼마나 다양하고 잘 변동되는지) – 직무가 단순한 경우 좋은 목표의 동기부여 효과가 더 크다 // 경쟁 상황 // 능력
@자기효능감
1. 의의 : 자신이 수행하고 있는 업무를 잘 해낼 것으로 믿는 개인의 성향
2. 증진 방법
1) 성공경험
2) 대리학습
3) 구두설득 : 상사로부터 긍정적 피드백
4) 각성 : 정신적, 육체적으로 깨어있는 상태
3. 목표와 자기효능감
: 좋은 목표 > 종업원 자기효능감 증진 > 자기 설정 목표 향상 > 높은 성과
4. 자기효능감이 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
1) 목표의 수정 : 자기효능감 높은 사람은 난이도 높은 업무 선호할 수 있음
2) 노력의 강도 및 지속성 향상
3) 학습효과 증진 : 더 많이 배우려고 함
4) 스트레스 감소
[수험] 공인노무사 - 경영조직론 (귀인, 태도) (0) | 2021.03.15 |
---|---|
[수험] 공인노무사 - 경영조직론 (성격, 가치, 지각) (0) | 2021.03.09 |
[수험] 공인노무사 - 경영조직론 (욕구 이론) (0) | 2021.02.09 |
[수험] 공인노무사 - 경영조직론 (조직효과성2) (0) | 2021.01.28 |
[수험] 공인노무사 - 경영조직론 (관료제 & 시스템이론) (0) | 2021.01.25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