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수험] 공인노무사 - 경영조직론 (귀인, 태도)

수험

by 반갑다친구야 2021. 3. 15. 10:40

본문

@귀인

1. 의의 : 하이더 // 행동에 대해 원인과 결과를 밝히는 것 // 대인지각의 한 유형

2. 세가지 차원 : 와이너 

1) 통제의 소재 : 내적귀인 (행위의 원인이 행위자 내부의 요소에 있다고 이해) // 외적 귀인

2) 안정성 : 사건의 결과가 같은지, 변하는지

3) 통제가능성 : 행위자가 원인을 통제할 수 있는지, 없는지

3. 결정 요인 : 켈리 큐빅모델
1)
상황의 특이성 : 특정 상황에서만 다르게 행동하는 것 // 특이성이 높다면 외적 요인 때문

  2) 행동의 일관성 : 계속해서 나타나면 내적 요인 때문

  3) 사회적 합의성 : 다른 사람들이 같은 상황에서 비슷하게 행동하는 것 // 합의성이 높다면 그 원인은 외적 요인 때문

4. 귀인오류 

 1) 근본귀인오류 : 타인 행동 평가시 외재적 요인 과소평가, 내재적 요인 과대 평가

 2) 행위자-관찰자 편견 : 자신 성공시 내적 귀인, 실패시 외적 귀인 // 타인 성공시 외적 귀인, 실패시 내적귀인

 3) 자존적 편견 : 자신 성공시 내적 귀인, 실패시 외적 귀인

 4) 통제의 환상 : 자신 통제력 과대평가 // 징크스

 

@태도

1. 의의 : 특정 대상에 대한 호-불호 // 피쉬베인 - 태도는 인지적 요소 (평가), 정서적 요소 (감정), 행동적 요소 (행동) 으로 구성, 서로 긴밀한 상관관계 // 가치관 안정적 // 태도 가변적, 비교적 지속적// 욕구 일시적    

2. 태도변화와 관련된 이론

1) 인지부조화 이론

 (1)의의 : 페스팅거 // 복수의 신념, 태도, 행동간 불일치 발생시 인지부조화 경험하며, 이로 인한 불편한 감정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 > 이 과정에서 태도 변화시킬 수 있음

 (2)영향 요인 : 부조화 요소가 중요할수록 // 부조화가 큰 비용 초래할수록 // 자신이 통제 가능하다고 믿을수록 인지부조화 감소 욕구가 커짐

 (3)감소 방안 : 태도, 행동 변화 // 부조화 요소의 중요성 과소평가 // 부조화보다 더 가치 있는 조화 요소 추가

2) 세력장 이론

 (1)의의 : 커트 르윈 // 변화 추진하려는 힘, 저항하려는 힘 중 전자를 강화하면 태도가 바뀔 수 있음

 (2)내용 : 개별 설득보다는 토론을 통한 집단 참여가 효과적

 (3)시사점 : 집단역학 발전에 기여

3) 이성적 행동이론

 (1)의의 : 에이전 // 단순히 태도-행동 관계가 아니라 그 사이에 주관적 규범이 개입 -> 중요한 주변사람들에게 용인될 수 있어야 행동으로 발현됨

3. 태도변화 과정 : 커트 르윈

 1) 해빙 :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새로운 태도 받아들일 준비하는 단계

 2) 변화 : 새로운 태도를 형성하는 단계 // 켈만 태도 변화의 유형 > 순응 (보상 기대, 처벌 회피 목적으로 다른 사람이나 집단의 영향력 수용) , 동일화 (타인이나 집단의 태도에 동화되어 스스로 일체화 됨), 내면화 (타인이나 집단 주장이 본인 가치체계에 부합하여 받아들임)

 3) 재동결 : 새로운 태도를 반복적 강화하여 정착하는 단계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