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스 경로-목표 이론
1. 의의 : 리더십 상황이론 // 브룸 기대이론에 기반 – 리더는 구성원이 가지는 기대감 (기대, 수단성, 유의성) 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통해 리더십을 발휘함
2. 내용
1) 리더십 유형
(1)지시적 리더십 : 구성원에 대한 통제, 감독 강조
(2)후원적 리더십 : 구성원의 욕구와 복지에 관심
(3)참여적 리더십 : 의사결정에서 구성원 견해 중시
(4)성취지향적 : 도전적 목표로 구성원 스스로 능력에 자신감 갖도록 함
2) 상황변수 : “구성원의 특성”, “과업환경요소”
(1)구성원 특성
ㄱ.능력 : 과업 능력이 있다고 지각할수록 지시적 리더십 수용도가 낮아짐
ㄴ.통제위치 : 내적 통제 성향 – 참여적 리더십 효과적 // 외적 통제 성향 – 지시적 리더십 효과적
ㄷ.욕구 : 안전욕구 – 지시적 리더십 효과적 // 자존욕구 – 후원적 리더십 효과적
(2)과업환경요소
ㄱ.과업특성 : 구조적인 과업 – 후원적, 참여적 리더십 효과적// 비구조적인 과업 – 지시적 리더십 효과적
ㄴ.작업집단 : 집단 형성 초기 – 지시적 리더십 효과적 / 안정기 – 후원적, 참여적 리더십 효과적
ㄷ.권한 체계 : 불명확 – 지시적 리더십 효과적
@브룸-예튼-제이고 규범적 리더십
1. 의의 : 리더십 상황이론 // 의사결정적 상황에 따라 “리더의 간섭”, “구성원의 참여정도”가 달라져야 함
2. 내용
1) 리더십 유형 – 다섯가지 리더의 특성 // 순 ~> 위로 갈수록 구성원 참여정도 증가
(1)순수 독단형 : 리더 혼자 문제해결, 의사결정
(2)참고적 독단형 : 구성원에게 질문 응답 방식으로 정보 요청하나 의사결정은 혼자
(3)개별 참여형 : 문제를 공유하여 1:1로 회합하나 의사결정은 혼자
(4)집단 참여형 : 문제에 대해 집단 토론을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리더가 의사결정
(5)위임형 : 문제에 대해 집단토론을 수행하고, 의사결정 공동 수행
2) 상황변수
(1)의사결정과정의 질적 속성 : 의사결정의 질 (결과) 이 중요한가 // 리더의 정보 수준 (리더가 충분한 정보 가지고 있는가) // 문제의 구조화 여부 (문제가 정형화되어 있는가)
(2)구성원의 수용도 : 구성원의 수용필요성 // 리더 독단적 결정의 수용가능성 // 조직목표 공유여부 // 구성원의 갈등
3) 효과적인 리더십 : 각 상황에 따라 의사결정트리가 만들어지며, 각 의사결정상황마다 적합한 리더십 유형이 하나 또는 복수로 할당됨
[수험] 공인노무사 - 경영조직론 (리더십 대체이론, 리더십 귀인이론) (0) | 2021.04.20 |
---|---|
[수험] 공인노무사 - 경영조직론 (변혁적 리더십 // 카리스마 리더십 // 서번트 리더십 // 진정선 리더십 // 슈퍼 리더십) (0) | 2021.04.12 |
[수험] 공인노무사 - 경영조직론 (관리격자 모형 / 상황적 리더쉽) (0) | 2021.04.05 |
[수험] 공인노무사 - 경영조직론 (리더십, 행동이론, 상황이론, LMX ) (0) | 2021.03.29 |
[수험] 공인노무사 - 경영조직론 (조작적 조건화, 조직행동 수정) (0) | 2021.03.2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