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선발도구의 평가
1) 신뢰성
(1)의의 : 선발도구의 일관성 및 안정성
(2)유형
ㄱ.대체형식의 검증 : 유사한 형식이나 내용으로 시험 실시 // 동시에 할 수도 있고, 다른 시점에 할 수도 있음
ㄴ.내적 일관성 검토 : 평가항목간 관계 일관성 // 동일시점에서 하는 횡적 측면의 신뢰도 검증 // 반분신뢰도 – 평가항목을 반으로 나눈 후 두 집단에서 따로 측정한 다음 상관관계를 보는 방법 // 크론바알바 – 이를 확장하여 모든 반분신뢰도를 통해 전체 신뢰도를 추정
ㄷ.실시-재실시 : 동일집단의 시간차 점수 // 다른 시점에서 하는 종적 측면의 신뢰도 검증
ㄹ.평가자간 검토 : 여러 평가자간 평가결과 비교
2) 타당성
(1)의의 : 선발도구가 선발 평가와 목적에 부합하는 정도
(2)유형
ㄱ.현재타당성 : 선발도구 측정치가 현직 종업원들이 직무성과와 관련 있는 정도 (예 : 외국인과 소통력 뛰어난 철수는 토익점수 높으므로, 토익 높은 신입선발)
ㄴ.예측타당성 : 선발도구 측정치가 선발된 인원들의 미래 직무성과와 관련 있는 정도 (예 : 토익 높은 사람은 그 성실성으로 일도 잘할 것 예상해서 선발)
ㄷ.내용타당성 : 선발도구 측정 내용이 실제 업무와 얼마나 유사한지 (예 : 토익 시험 문항들이 영어실력을 제대로 반영하는지 판단)
ㄹ.구성타당성 : 선발도구 측정 항목들이 이론적인 속성에 부합되고 논리적인가 하는 지표 (예 : 토익과 토플 시험에 상관관계가 높다면 이들은 모두 영어실력이라는 구성개념을 측정하는 것으로 판단) // 수렴타당도 – 같은 개념을 다른 방법으로 측정 // 변별타당도 – 다른개념을 같은 방법으로 측정 // 요인분석법 – 서로 상관 높은 문항끼리 묶는 것
3) 선발률
4) 비용-편익 분석
6. 선발오류 극복방안
1) 선발오류 : 적임자를 선발하지 못하는 것 // 1종 오류 – 선발했어야 하는 인원을 놓친 것 // 2종 오류 – 선발하지 않았어야 하는 인원을 뽑은 것
2) 1종 오류 극복 : 합격기준 하향 > But 무자격자 선발 위험 // 타겟 리쿠르팅
3) 2종 오류 극복 : 합격기준 상향 // 선발도구 개발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개발 2) (0) | 2020.10.21 |
---|---|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개발 1) (0) | 2020.10.19 |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선발 1) (2) | 2020.10.07 |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모집) (1) | 2020.10.05 |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인적자원계획) (0) | 2020.10.0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