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퇴직연금제
1) 의의 : 퇴직금을 일시에 수령하지 않고, 일정 기간 고정액을 분할하여 수령하는 것
2) 특징 : 기업도산에 따른 지급 불능에 대응 // 제도 설계 및 운용에 다양한 선택권 있음 (DB 는 사용자 - DC 는 노동자) // 다양한 금융상품에 장기 분산투자하여 환경 변화에 효과적 대응 가능 // 중도 인출 요건 제한하여 충분한 노후 재원 보존
3) 유형
(1)확정급여형 (DB) : 종업원이 받을 연금액이 사전에 정해지고 사용자가 운용하며, 나중에 미적립되는 금액은 사용자가 책임짐 // 액수가 확정되어 안정적 노후예측 가능 // 종업원 이직시 퇴직금 계산 복잡 // 장기근속자, 대기업 종사자 선호
(2)확정기여형 (DC) : 사용자의 부담금이 사전에 확정되고 적립금 운용을 종업원이 자기책임하에 함 // 이직을 하거나 기업 도산해도 기적립금 보장됨 // 투자 결과에 따른 변동성 있음 // 젊은 층이나 중소기업 종사자 선호
10. 임금과 동기부여
1) 동기부여 : 사람이 투입하는 노력의 “강도, 지속성, 방향” 결정하는 요인
2) 임금의 동기부여적 기능
(1)기대이론 : 기대 및 유의성 > 개인차 // 수단성 > 신뢰
(2)아담스 공정성 이론
(3)강화이론 : 행동은 원인에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행동결과에 따른 피드백에서도 영향을 받음
(4)대리인 이론 : 기업주로부터 업무를 위탁 받아 수행하는 종업원들을 동기부여 하려면 > 노력-보상에 강한 연결고리를 제공해야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도덕적 해이를 막을 수 있음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유지) (0) | 2020.12.28 |
---|---|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보상8) (0) | 2020.12.23 |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보상6) (0) | 2020.12.09 |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보상4) (0) | 2020.12.02 |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보상3) (0) | 2020.11.3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