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방출1)

수험

by 반갑다친구야 2021. 1. 5. 10:02

본문

@이직

1. 의의 : 종업원이 현재 조직이나 직종에서 이탈하는 과정

2. 유형

1) 자발적 이직 : 전직 (다른 기업으로 이직) // 비전직 (다른 기업으로 옮기지 않고, 학업, 결혼 등으로 포기) // 일반적으로 이직 관리 대상은 전직

2) 비자발적 이직 : 해고 (징계, 구조조정) // 퇴직 (정년, 사망)

3. 기능

 1) 순기능 : 이직자 보다 나은 직무 및 임금 // 잔류자 공석 시 보다 나은 직무로 이동 가능 // 기업 - 인적자원관리의 통풍 역할, 신규 채용으로 조직에 활력

 2) 역기능 : 이직자 타 조직에 새로 적응 // 잔류자 이직자 업무를 분담, 인간관계 변화 부담 // 조직 이직비용 발생, 유능한 인재의 이직은 경쟁력 악화 // 이직 빈번할 경우 조직분위기 훼손

4. 이직 비용 

 1) 의의 : 거래비용 관점에서 노동력 이동은 하나의 거래이며 각종 비용 수반됨

 2) 이직 결심시 ~ 실행시 : 현재 업무에 집중하기 어려워 생산성 저하 // 주변의 동요

 3) 이직 시 ~ 대체인력 고용시 : 인력부족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 // 신규 대체 인력 모집, 선발 비용

 4) 대체인력 고용 후 : 조직 적응 관련 비용 // 교육훈련 비용

 5) 적정이직률 : 이직비용과 인력보유비용의 합 최소 지점

5. 이직의 관리

 1) 직무 차원 : 핵크만-올드햄 직무특성이론에 따라 직무확대, 직무충실 // 로크 목표설정이론에 따라 도전적 직무 // 임파워먼트 필요

 2) 작업 환경 차원 : 상사-부하 관계 고려한 인력배치 필요 // 관리자에게 지속적 리더십 교육 // 열악한 작업환경 개선

 3) 조직차원 : 임금 공정성 증대시켜야 함 > 조직적 공정성 > 직무평가 // 개인적 공정성  > 연공급, 직능급, 성과급

 

@아웃플레이스먼트

1. 의의 : 비자발적 이직 시 인생설계 프로그램이나 재취업을 위한 전직, 창업교육 하는 것

2. 단계 : 충격완화 단계 (멘토링, 상담) > 개인에 대한 종합적 평가 단계 (시험, 인터뷰) > 교육훈련 단계 > 추가지원 단계 (구직활동 지원)

3. 장점 : 종업원 차원 해고로 인한 심리적 갈등과 혼란 극복, 새로운 직장을 위해 필요한 능력 개발 가능, 미래에 대한 장기적 계획 수립 가능 // 기업 차원 노사 마찰 피함, 기업 이미지 // 정부 차원 실업급여 비용, 사회적 불안 줄임

4. 한계 : 획일화된 집체교육으로 실시될 경우 실효성 저하 // 기업이 이미지 제고 수단으로만 활용할 경우 종업원 필요로 하는 교육이 이루어지기 힘듦 // 능력 개발이 아니라 생계수단 마련하는 교육에 그칠 경우 실효성 적음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