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수험] 공인노무사 - 인사관리 (방출2)

수험

by 반갑다친구야 2021. 1. 11. 14:18

본문

@인적자원관리 유연화

1. 의의 : 외부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인적 자원이 얼마나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재배분 될 수 있는지

2. 배경 : 1997년 외환위기 // 노동시장 경직성

3. 유형 : 수량적 유연화 노동력 수준을 조절 // 기능적 유연화 교육훈련, 배치를 통한 직무수행범위 확대, 전환 // 임금 유연화 변동적, 차별적 임금 지급

4. 실천방안

 1) 수량적 유연화

   (1)유연시간 근무제

     ㄱ.탄력시간근로제 : 근기법상 법정근로 시간 변경하는 모든 형태

     ㄴ.집중근무제 : 주당 근무시간은 일정하게 하고 일당 근로시간을 조정하여 주당 근로일 수조정

     ㄷ.선택적 근로시간제 (일정 기간 총 근로시간에 맞추어 원하는대로 근무시간 조정, 협업 어려워질 수 있다는 단점 있음)

    (2)고용계약 조정 : 임시직 // 파견근로 // 아웃소싱

  2) 기능적 유연화 : 직무확대 // 직무충실 // 직무순환

  3) 임금 유연화 : 성과급 개인성과급 & 집단성과급

 

@저성과자

1. 의의 : 인력의 3가지 유형 (잠재력 높은 고성과자 // 일반적인 직원 // 퇴출, 재교육 필요)

2. 저성과자 관리 필요성

 1) 조직차원 : 업무 분위기 저해

 2) 집단차원 : 팀 성과 저하

 3) 개인차원 : 직무만족도 저하 (상사로부터 많은 지적)

3. 유형

 1) 성과정체형 저상과자 > 업무에 대한 동기부여 

 2) 역량정체형 저성과자 > 교육 훈련

 3) 경력정체형 저성과자 > 직무재설계

4. 관리 방안

 1) 내부화 접근법 : 가급적 조직내에서 동기부여 // 내부화-고투자 > 직무재설계, 경력경로설계 // 내부화-저투자 > 보상 변경 등으로 동기유발

 2) 외부화 접근법 : 가급적 조직밖으로 방출 // 외부화-고투자 > 아웃플레이스먼트 // 외부화-저투자 > 정리해고, 권고사직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