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설계의 차원
1. 의의 : 조직구조의 특징을 구체화하는 여러 변수의 집합 // “구조적 차원” - 조직 내부 특성을 설명하는 변수로 조직간의 특성을 비교하는 기준 & “상황적 차원” – 구조적 차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조직 외적 변수 // 구조적 차원의 구성요소
2. 복잡성
1) 의의 : 조직 내 분화의 정도 // 과업과 책임을 어떻게 나누는가
2) 유형
(1)수평적 복잡성 : 과업의 양과 질에 따른 분화 정도 // 몇가지의 다른 일이 수행되는지
ㄱ.직무전문화 : 업무를 분업하여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것 // 효율성, 생산성 향상 // 인간소외
ㄴ.부문화 : 시너지 위해, 전문화된 업무들을 묶는 것 // 제품, 지역, 고객 등의 다양한 기준으로 묶음
(2)수직적 복잡성 : 조직 내 계층구조의 깊이 // 규모가 커지고 과업 수가 늘어날수록 업무간 조정, 통제의 필요성 높아 수직적 복잡성이 큼
ㄱ.위계 : 조직 구성원간 정보, 권한, 책임, 보상 등이 차별화된 상태
ㄴ.통제범위 : 관리자가 직접 통제하는 종업원 수 // 동일한 종업원 수를 가졌더라도 수직적 분화가 큰 조직은 조직구조가 높고, 수직적 분화 적은 조직은 평평 // 정보화와 원가절감 추세에 따라 통제범위는 확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단점 극복 위해 교육훈련과 임파워먼트 실시
3. 집중성
1) 의의 : 조직의 한 곳에 의사결정권이 집중되는 정도
2) 관련개념 : 명령 체계 – 조직의 가장 높은 지위에서 가장 낮은 위치까지 연결하는 선 (누가 누구에게 보고하고, 누가 누구에게 책임지는가) // 집중성 높으면 상위단계로 의사결정권한이 집중 // 과거는 명령통일 원칙이 중요했으나, 최근 임파워먼트 및 매트릭스 조직 등장으로 중요성 떨어짐
4. 공식성
1) 의의 : 조직내 특정 과업을 누가, 언제, 어떻게 수행할 것인지 공식적으로 규정해 놓은 정도 // 보통 문서화된 수준을 의미하지만, 문서가 아니라도 다수가 인지하고 있으면 공식성 높음
2) 관련개념 : 표준화 – 업무방식과 생산과정이 통일된 정도
5. 조직설계시 정보의 원활한 흐름을 위한 구조적 수단
1) 의의 : 조직 구조는 수직적, 수평적 정보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설계돼야 함
2) 수직정 정보연결
(1)의의 : 통제 // 효율성 목표
(2)수단 – 계층 상 통제 (상하계층을 이용) // 계획 // 수직적 정보시스템 // 보좌역 (관리자를 보좌하는 보좌역을 두어 효율적 업무 수행)
3) 수평적 정보연결
(1)의의 : 조정 // 유연성, 적응성 목표
(2)수단 : 정보시스템 (구성원 자체가 정보 공유하도록) > 직접접촉 > 테스크포스 > 전임통합자 (조정 만을 담당하는 관리자) > 프로젝트팀 > 관계적 조정 (부서의 경계를 넘어 자유롭게 조정)
@통제
1. 의의 : 조직 각 부문의 여러 활동에 대한 의사결정권한을 지위에 따라 배분하고, 그 결과에 대한 책임소재는 명확히 설정하는 현상
2. 유형
1) 계층적 통제 : 규정, 권한, 표준화된 문서 및 관료제적 메커니즘을 동원하는 통제 기법 // 베버에 의하면 카전합 중 “합”
2) 분권적 통제 : 각자 자율적으로 업무 진행하고 그 결과 각자 책임 자는 방식 // 애드호크라시 조직 // 조직문화 중 적응적 문화
3) 행동통제 : 과정 통제 // 단계별 진행 검토
4) 결과통제 : 성과통제 // 예 : 목표관리법 (MBO)
3. IT 발달과 통제 방식 변화
1) 정보기술 : 정보를 빠른 속도로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각종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2) 정보화 사회 : 정부 수집, 활동이 부가가치 창출의 원천이 되는 사회
3) 행동통제 측면 : 구성원들이 언제 어디서나 업무 가능 // 휴가-퇴근 후에도 업무에서 해방 어려움
4) 결과통제 측면 : 균형성과표에 따라 재무적 지표가 없더라도 고객만족도, 리드타임 등의 지표를 활용하여 업무성과 통제 가능 > 즉, 마케팅, 생산, 인사 등 다양한 측면에서 목표치를 정하고 조직 운영 가능 // 과정은 무시하고 결과만 좋으면 된다는 논리는 안됨
[수험] 공인노무사 - 경영조직론 (네트워크 조직/ 혼합형 조직/하이브리드 조직) (0) | 2021.06.01 |
---|---|
[수험] 공인노무사 - 경영조직론 (민쯔버그 조직구조 / 기능식조직 / 사업부제조직 / 매트릭스 조직 / 프로젝트 조직 ) (0) | 2021.05.24 |
[수험] 공인노무사 - 경영조직론 (인상관리 / 갈등 / 협상) (0) | 2021.05.18 |
[수험] 공인노무사 - 경영조직론 (집단의사결정 / 권력 / 임파워먼트 / 조직 정치) (0) | 2021.05.07 |
[수험] 공인노무사 - 경영조직론 (의사결정/ 쓰레기통 모형/ 합리모형/ 카네기 모형/ 점진적 의사결정 모형) (0) | 2021.04.29 |
댓글 영역